분류 전체보기
-
식육·즉석·보관업 동시 운영 시 위생일지 통합 가능할까? – 자체위생관리기준 관리 기준 총정리카테고리 없음 2025. 3. 31. 19:51
식육·즉석·보관업 동시 운영 시 위생일지 통합 가능할까? – 위생관리 기준 총정리 한 사업장 내에서 식육판매업, 식육즉석판매업, 축산물보관업을 동시에 운영하는 경우, 위생점검일지 및 자체위생관리기준을 각각 따로 써야 하는지, 아니면 통합해도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이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다음과 같이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복수 영업 운영 시 자체위생관리기준은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요? 각 영업(판매업, 즉석판매업, 보관업 등)은 성격, 공정, 관리기준이 다르므로 자체위생관리기준을 각각 작성해야 합니다. 영업장 내에서 동시에 운영되더라도, 각 영업 형태에 맞게 작업자 및 종업원이 준수할 사항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2. 위생점검일지 통합 작성 가능 여부 ..
-
봄철 조개 먹기 전에 꼭 알아야 할 패류독소! 예방법 총정리식품안전 2025. 3. 31. 19:33
봄철 조개 먹기 전에 꼭 알아야 할 패류독소! 예방법 총정리 따뜻한 봄이 되면 조개류가 제철을 맞이합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반드시 주의해야 할 위험 요소가 있습니다. 바로 패류독소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매년 3~6월은 패류독소 발생 위험이 높은 시기이며,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패류 섭취는 심각한 중독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패류독소란? 패류독소는 독성이 있는 플랑크톤을 먹은 조개류나 멍게, 미더덕 등의 어패류에 축적되는 자연 독소입니다. 조개, 굴, 홍합, 바지락 등 다양한 패류에 포함될 수 있으며, 가열·조리해도 독성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대표적인 패류독소 종류와 증상 마비성 패류독소 (PSP): 얼굴 주변 감각 저하, 언어장..
-
미세먼지 심한 날, 실내 공기 관리법 완벽 가이드!생활꿀팁 2025. 3. 11. 23:00
미세먼지가 심한 날, "창문을 닫아야 할까? 열어야 할까?" 고민해 본 적 있으신가요?집 안에서도 미세먼지가 쌓일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 관리가 필수적입니다.오늘은 미세먼지 많은 날,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이유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실외 공기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 질도 나빠질 수 있습니다.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외부 공기 유입 – 창문이나 문틈 사이로 미세먼지가 들어옴✅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 가스레인지 사용 시 초미세먼지 배출✅ 먼지·오염물질 축적 – 카펫, 침구류, 커튼에 먼지가 쌓임✅ 실내 환기 부족 – 실내 공기가 갇히면서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실내 공기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미세먼지 농도가 더 높아질 수도 있..
-
KF94 마스크, 정말 효과 있을까? 미세먼지 마스크 완벽 가이드생활꿀팁 2025. 3. 11. 21:15
미세먼지가 심한 날이면 KF94 마스크를 꼭 써야 한다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그런데 정말 KF94 마스크가 효과가 있을까요?KF80, KF94, KF99 마스크의 차이는 무엇일까요?오늘은 미세먼지 마스크의 효과, 선택법, 올바른 착용 방법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KF94 마스크란?KF94 마스크는 초미세먼지(PM2.5)까지 94% 이상 차단하는 성능을 가진 마스크입니다.여기서 "KF"는 **Korea Filter(한국 필터 기준)**를 의미하며, 숫자가 높을수록 차단 효과가 뛰어납니다.📌 KF 등급별 차이마스크 종류차단율추천 사용 상황KF80미세먼지 80% 차단공기 질이 보통일 때, 가벼운 외출KF94미세먼지 94% 차단미세먼지 ‘나쁨’ 이상일 때, 공기 오염이 심한 날KF99미세먼지 99%..
-
식육포장처리업에서 냉동 식육 해동 후 유통 및 판매 가능할까?식품안전 2025. 3. 11. 00:00
식육포장처리업을 운영하는 경우, 냉동 식육을 해동하여 냉장 제품으로 유통 및 판매할 수 있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특히 식육가공업체, 집단급식소 등에 납품할 때 해동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법적 기준을 정확히 알아야 하는데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축산물 위생관리법을 바탕으로 식육포장처리업의 냉동 식육 해동 및 유통 가능 여부를 명확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식육포장처리업에서 냉동 식육 해동 후 판매 가능할까?❌ 원칙적으로 불가능**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21조 제4호 및 별표 12 [4호 사목]**에 따르면,"식육포장처리업 영업자는 냉동 식육 또는 냉동 포장육을 해동하여 냉장 포장육으로 유통·판매해서는 안 된다."즉, 식육포장처리업자는 냉동 식육을 해동하여 그대로 냉장 제품으로 판매할 수 없습니..
-
식육판매업 영업자가 냉동 식육을 해동하여 냉장 식육으로 판매할 수 있을까?식품안전 2025. 3. 10. 22:00
축산물 판매업을 운영하는 분들이라면 냉동 식육을 해동하여 냉장 육으로 판매하는 것이 가능한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특히, 수입 냉동 육류를 판매할 때 냉장육 형태로 보관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지에 대한 법적 기준을 정확히 알아야 하는데요.오늘은 축산물 위생관리법을 바탕으로 식육판매업의 냉동 식육 해동 및 판매 가능 여부를 명확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식육판매업에서 냉동 식육 해동 후 판매 가능할까?❌ 불가능합니다.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3] 제3호 아에 따르면,"식육판매업 영업자는 냉동식육을 해동하여 냉장식육으로 보관하거나 판매해서는 안 된다."즉, 식육판매업자는 냉동 상태로 유통된 식육을 해동하여 냉장육으로 보관하거나 판매할 수 없습니다.이는 식육의 위생과 품질을 유지하고, 부패 및 변질을 방..
-
식육포장처리업과 식육가공업, 도축검사증명서 보관 의무가 있을까?식품안전 2025. 3. 10. 20:24
축산물 관련 업종을 운영하는 경우 도축검사증명서를 반드시 보관해야 하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특히 식육포장처리업 및 식육가공업의 경우 보관 의무가 있는지 여부를 명확히 아는 것이 중요한데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축산물 위생관리법을 바탕으로 도축검사증명서 보관 의무 여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도축검사증명서란?도축검사증명서는 도축장에서 도축된 축산물이 위생적으로 안전한지 증명하는 문서로,축산물 유통과 위생 관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일반적으로 도축검사증명서는 해당 축산물을 구매하거나 보관하는 업종에서 반드시 보관해야 하는 서류입니다.✅ 도축검사증명서를 반드시 보관해야 하는 업종축산물보관업축산물판매업식육판매업식육즉석판매가공업축산물운반업📌 식육포장처리업 및 식육가공업은 도축검사증명서를 보관해야 할까?❌ 보관..
-
건강진단 대상 및 위생복·마스크 착용 기준 – 계산원과 배식 직원도 해당될까?식품안전 2025. 3. 7. 13:00
음식점이나 단체급식소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역할은 다양합니다.특히, 음식 조리를 하지 않는 계산원도 건강진단(보건증) 대상일까?또한, 단체급식소에서 배식만 담당하는 직원도 위생복과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할까?이번 포스팅에서는 식품위생법을 바탕으로 정확한 기준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계산업무만 하는 직원도 건강진단 대상일까?✅ 건강진단 대상 아님음식점(식품접객업소)에서 근무하더라도, 음식 조리, 제조, 판매, 운반 등의 업무를 직접 수행하지 않고 단순히 계산만 담당하는 경우에는 건강진단 대상이 아닙니다.즉, POS(Point of Sale) 기기 조작 및 고객 결제 업무만 수행하는 직원이라면 보건증을 발급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관련 법규:식품을 취급(제조·가공·조리·저장·운반 또는 판매)하는 ..